카테고리 없음

서울지역화폐 제로페이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처

큐큐리리 2025. 7. 15. 07:30

1. 서울사랑상품권이란?

  • 서울특별시 주관의 모바일 지역화폐
  • 2020년 1월 17일 출시
  • 지역 내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도입
  •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할인 혜택과 소득공제 제공

2. 서울사랑상품권 사용 방법

  • 앱 설치: '서울Pay+' 애플리케이션 (2024년부터 단일 운영 앱)
  • 결제 방식: QR 코드 또는 바코드 결제
  • 상품권 유형:
    • 자치구별 상품권 → 해당 자치구 내 가맹점만 사용 가능
    • 광역형 상품권 → 서울 전 지역 사용 가능
  • 결제 수단: 계좌이체, 신용/체크카드

3.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처 (서울페이 가맹점)

  • 프랜차이즈:
    •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 파리바게트, 롯데리아, 던킨도너츠, 배스킨라빈스
    • 이니스프리, 정관장, 엔제리너스 등
  • 사용 불가 매장:
    •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2024년 이후 전부 사용 불가)
  • 확인 방법:
    • '서울Pay+' 앱에서 가맹점 조회 기능 사용
    • 제로페이 홈페이지나 각 자치구 홈페이지에서도 사용처 확인 가능

4.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요약

🗓️ 시작일: 2025년 7월 21일
💰 지급 방식: 서울사랑상품권 포인트 형태
📍 사용처: 서울페이/제로페이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5. 지급 금액 및 대상별 요약표

구분1차 지급액 (7.21~9.12)2차 지급액 (9.22~10.31)최대 지급액
일반 국민 15만 원 10만 원 25만 원
차상위계층/한부모 가족 30만 원 10만 원 4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10만 원 50만 원
비수도권 지역 주민 1차 지급액 + 3만 원 - 추가 지급 적용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1차 지급액 + 5만 원 - 추가 지급 적용

 

 

📌 서울 시민은 최대 25만 원까지 지급
❗ 단, 자동 지급이 아니므로 반드시 신청해야 함


6. 신청 방법

  • 신청 플랫폼:
    • '서울Pay+' 앱
    • 서울사랑상품권 웹사이트 또는 관련 앱들
  • 주의사항:
    • 소득 상위 10%는 2차 지급에서 제외
    • 신청 기간 꼭 확인!
      • 1차 접수: 7월 21일 ~ 9월 12일
      • 2차 접수: 9월 22일 ~ 10월 31일

7. ✅ 요약 정리

항목내용
발급 대상 서울 거주자 누구나 가능
지급 형태 서울사랑상품권 포인트
사용처 서울Pay+ / 제로페이 가맹점
신청 방법 서울Pay+ 앱 등에서 신청 필수
유의사항 소득 상위 10%는 2차 제외, 자동지급 아님

 

 

 

신청 방법 요약

신청 유형접수 방법접수 장소신청 가능 시간특징
온라인 신청 앱, 카드사 홈페이지, 콜센터, ARS 스마트폰/PC 24시간 빠르고 편리, 익일 지급
오프라인 신청 방문 신청 주민센터, 은행 영업점 평일 9시~18시 (은행은 16시까지) 대면 상담 가능
찾아가는 신청 지자체 방문 접수 거동 불편자 가정 등 지자체 일정에 따라 상이 고령자·장애인 대상, 대리 신청 가능
 

📌 주의사항:

  • 주민등록상 주소지 기준 지자체에 신청
  • **성인(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은 본인이 직접 신청 필요

🔹 지급 수단별 특징

지급 수단주요 특징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등록된 카드 사용 시 자동 차감, 실시간 문자 알림 제공
지역사랑상품권 모바일형, 카드형, 지류형 중 선택 가능
선불카드 지정 카드사 및 은행 발급, 특정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신청 후 익일부터 사용 가능
카드사 알림서비스 통해 잔액 확인 가능


🔹 ‘서울Pay+’ 앱 설치 및 사용 가이드

1) 앱 설치 방법

  • 구글 플레이스토어 / 애플 앱스토어에서 서울페이플러스 검색 → 설치
  • 또는 QR코드 스캔을 통해 설치 (지자체 안내문 활용)
  • 기존 '서울Pay+' 앱 사용자 → 팝업/배너 링크로 설치 가능

2) 회원 가입

  • 앱 실행 → 회원가입 진행
  • 간편 비밀번호 설정
  • Face ID 또는 지문 인증 등록 가능
  • 기존 회원은 로그인만으로 이용 가능

3) 계좌 및 카드 등록

  • 본인 명의 은행 계좌 등록 필수
  • 하나, 국민, 삼성, 현대카드 등 주요 카드 등록 가능 (추후 확대 예정)
  • 등록된 계좌로 상품권 충전 또는 자동 결제

4) 신청 유형 선택

  • 온라인 신청: 서울페이플러스 앱 내 메뉴에서 신청 가능
  • 방문 신청: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 신분증 필수

📍 사용 가능 앱 플랫폼 정리

  • 서울페이플러스 (서울Pay+)
    • 2024년 이후 서울사랑상품권 유일 사용 앱
    • 모든 결제/신청/확인 기능 통합

✅ 요약 체크리스트

항목내용
신청 방법 온라인 / 오프라인 / 찾아가는 접수
신청 대상 주민등록상 주소지 기준 접수, 성인 본인 직접 신청
지급 수단 카드 포인트 / 지역상품권 / 선불카드
사용 가능 앱 서울Pay+ (2024년부터 단일 운영)
설치 경로 앱스토어 검색 또는 QR코드
카드 등록 하나, 국민, 삼성, 현대카드 등 가능
지급 시점 신청 다음 날부터 지급 및 사용 가능

 

 

 

사용 가능한 업종 (주요 생활 밀접 업종)

서울사랑상품권(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곳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업종에서 대부분 사용이 가능하며, 제로페이 가맹점이라면 거의 전부 결제할 수 있습니다.

업종 분류사용 예시비고
생활유통 동네마트, 전통시장, 편의점(CU, GS25 등), 이마트24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등)는 사용 불가
식음료 일반 음식점, 분식집, 카페, 제과점,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대부분 포함
의료 병원, 의원, 치과, 한의원, 약국 의료기관 중 제로페이 가맹점에 한함
교육 학원(보습, 예체능 등), 독서실, 공부방 등록된 사업자만 가능
개인서비스 미용실, 이발소, 세탁소, 네일숍 등 생활 밀착 업종 중심
문화/취미 문구점, 악기점, 서점, 공방, 헬스장, 체육관 대기업 계열 극장(CGV, 메가박스 등)은 사용 불가
주거·생활서비스 열쇠수리, 인테리어, 청소업체, 수선소 동네 소상공인 대상 업체에 한함
 

🔹 사용 불가 업종

민생소비쿠폰은 지역 소상공인 보호 및 내수 진작을 위한 목적이므로 아래 업종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분류예시
대형 유통/쇼핑몰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사행성 업종 카지노, 유흥업소, 오락실
고액/사치성 업종 고급 가구, 명품점, 골프장, 외제차 딜러 등
온라인 쇼핑몰 쿠팡, G마켓, 11번가 등
배달앱 결제 일부 앱 사용 불가 (단, 직접 QR 결제 가능한 매장 예외)
 

🔹 사용 가능한 가맹점 확인 방법

방법설명
서울Pay+ 앱 '가맹점 찾기' 메뉴에서 위치 기반 검색 가능
제로페이 홈페이지 지역별 가맹점 목록 확인 가능
현장 확인 매장에 제로페이 / 서울사랑상품권 사용 가능 스티커 부착 여부 확인
 

✅ 요약 정리

항목내용
사용 가능 업종 마트, 편의점, 음식점, 병원, 학원, 미용실 등 생활 필수 업종
사용 불가 업종 대형마트, 유흥업종, 온라인쇼핑몰, 사치성 업종 등
사용처 조건 제로페이 가맹점이면 사용 가능
확인 방법 서울Pay+ 앱 또는 제로페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